생두의 분류 중 결점두(Defect bean)에 의한 분류에 대해 알아보자.
결점두에 의한 분류는 샘플을 검사해 발견된 불순물과 불량두를 점수로 환산해
등급을 나누는 방법이다. 결점두에 의한 분류를 채택한 생산국은 다음과 같다.
국 가 | 등 급 | 기 준 |
브라질 | No.2 ~ No.6 | 4 defects ~ 86 defects |
에티오피아 | Grade 1 ~ Grade 8 | No defects ~ over 340 |
인도네시아 | Grade 1 ~ Grade 6 | Grade 1 : 11 defects |
파라과이 | Tipo Uno(Type 1) | 85 Defects |
쿠바 | Grade 1 ~ Grade 9 | No Defect ~ Over 360 |
결점수에 따른 결점을 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Type | No.2 | No.3 | No.4 | No.4.5 | No.5 | No.6 | No.7 | No.8 |
결점수(점) | 4점이하 | 8점이하 | 26점이하 | 36점이하 | 46점이하 | 86점이하 | 160점이하 | 360점이하 |
결점두에 의한 분류를 사용하는 나라들은 대부분 내추럴 가공법을 사용하는 나라들이다. 이들 국가를 Brazilian Natural 그룹으로 분류 한다.
브라질-뉴욕 분류법은 300g의 생두에 포함되어 있는 결점두의 종류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결점계수(Defects)를 계산하여 이를 합산한 후 No.2~No.6까지 등급을 매긴다.
<디펙트 환산표>
구 분 |
C.O.B (브라질) |
뉴욕 | ||
디펙트 |
개수 |
디펙트 |
개수 | |
돌,나뭇가지,콩껍질 (대) |
5 |
1 |
|
|
돌,나뭇가지,콩껍질 (중) |
2 |
1 |
|
|
돌,나뭇가지,콩껍질 (소) |
1 |
1 |
|
|
까만 콩 |
1 |
1 |
1 |
1 |
체리 |
1 |
1 |
|
|
콩깍지 (대) |
1 |
1 |
|
|
까만 콩 (절반) |
1 |
1 |
1 |
2 |
과발효 콩 |
1 |
2 |
|
|
콩깍지 (소) |
1 |
2~3 |
|
|
파치먼트 |
1 |
2 |
|
|
조개모양 콩 |
1 |
3 |
1 |
3 |
미성숙 콩 |
1 |
5 |
|
|
퀘이커 |
1 |
5 |
|
|
깨진 콩 |
1 |
5 |
1 |
5 |
벌레 먹은 콩 |
1 |
2~5 |
무게의 0.5% | |
매마른 콩 |
|
|
1 |
5 |
콩조각 |
|
|
1 |
5 |
<디펙트별 타입 비교>
No. |
C.O.B (브라질) |
뉴욕 |
2 |
4 |
6 |
2/3 |
8 |
9 |
3 |
12 |
13 |
3/4 |
19 |
21 |
4 |
26 |
30 |
4/5 |
36 |
45 |
5 |
46 |
60 |
5/6 |
64 |
- |
6 |
86 |
- |
/ Coffee Curator, 커피선생 황호림(www.coffeezone.net)
'커피배우기 > 커피학 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피 추출이란? (0) | 2013.12.17 |
---|---|
스페셜티 커피 분류법 (0) | 2013.12.16 |
[생두의 분류] 스크린 사이즈에 의한 분류 (0) | 2013.12.13 |
[커피생두의 분류] 산지 고도에 의한 분류 (0) | 2013.12.10 |
생두의 분류 기준 (0) | 2013.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