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커피믹스를 만드는 두 업체간의 신경전이 도를 넘고있다.
우리나라 커피믹스 시장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동서식품과
후발 주자로는 드물게 빠른속도로 커피믹스 시장을 잠식해 가고
있는 남양유업의 신경전이 갈수록 거세지는 형국이다.
하는수 없이 동서측에서 카제인나트륨을 제거한
"맥심 화이트 골드"를 출시해 "연아의 커피가 궁금하다"라는
대대적인 광고 공세를 퍼 붓는다.
시장의 반응이 다시 동서쪽으로 기울자 이번에는
남양유업이 "맥심 화이트 골드"가 "카제인나트륨을 뺀
커피가 아니라 카제인 성분이 함유된 것으로 확인됐다" 며
허위 광고에 해당 된다며 관계당국에 신고하겠다고 으름장을
놓았다.
남양유업측에 따르면 "맥심 화이트 골드"는 카제인을 뺀 것이 아니라
"맥심 모카 골드" 보다 "카제인 함유량만 줄였다"고 한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동서식품의 '식품 품목제조 보고서'를 입수해
카제인 함유 비율을 공개했다.
일단 동서식품에서는 "무지방 우유를 넣었다"
"맛 배합에 필요한 천연 카제인을 넣었다고
문제 삼는것은 납득할 수 없다"고 밝혔다.
맥심 화이트 골드에 카제인이 함유 되어있음을
인정한 것이다.
그렇다면 카제인이 뭐길래 이렇게 난리일까?
카제인이란?
우유에는 수분 외 전체 고형분의 30%가 단백질인데,
카제인은 우유 또는 탈지유의 주요 단백질 성분이다.
우리나라 커피믹스 시장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동서식품과
후발 주자로는 드물게 빠른속도로 커피믹스 시장을 잠식해 가고
있는 남양유업의 신경전이 갈수록 거세지는 형국이다.
<여러종류의 커피믹스> Image by 한겨레신문
발단은 2011년 2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남양유업이 "프렌치 카페"라는 커피믹스를 내놓고
"커피는 좋지만 프림은 걱정된다"
"화학적 합성품인 카제인나트륨을 뺐다"는
문구들을 동원해 공격적으로 마케팅하기 시작하자
시장 판도가 변하기 시작했다.
이런 광고 효과 때문인지(?) 1년새 남양유업의
커피믹스 시장 점유율은 20%까지 치솟았고,
별다른 견제없이 커피믹스 시장을 호령하던 동서식품은
발등에 불이 떨어지기 시작했다.
동서식품이 "카제인나트륨이 몸에 좋지않은 성분으로
비쳐질 수 있다" 며 항의하자 식약청에서는 비방광고에
해당된다며 남양유업측에 시정 명령을 내린다.
하지만 이미 전세는 역전된 상태.
남양유업이 "프렌치 카페"라는 커피믹스를 내놓고
"커피는 좋지만 프림은 걱정된다"
"화학적 합성품인 카제인나트륨을 뺐다"는
문구들을 동원해 공격적으로 마케팅하기 시작하자
시장 판도가 변하기 시작했다.
이런 광고 효과 때문인지(?) 1년새 남양유업의
커피믹스 시장 점유율은 20%까지 치솟았고,
별다른 견제없이 커피믹스 시장을 호령하던 동서식품은
발등에 불이 떨어지기 시작했다.
동서식품이 "카제인나트륨이 몸에 좋지않은 성분으로
비쳐질 수 있다" 며 항의하자 식약청에서는 비방광고에
해당된다며 남양유업측에 시정 명령을 내린다.
하지만 이미 전세는 역전된 상태.
<카제인나트륨을 뺐다는 "프렌치카페">
하는수 없이 동서측에서 카제인나트륨을 제거한
"맥심 화이트 골드"를 출시해 "연아의 커피가 궁금하다"라는
대대적인 광고 공세를 퍼 붓는다.
시장의 반응이 다시 동서쪽으로 기울자 이번에는
남양유업이 "맥심 화이트 골드"가 "카제인나트륨을 뺀
커피가 아니라 카제인 성분이 함유된 것으로 확인됐다" 며
허위 광고에 해당 된다며 관계당국에 신고하겠다고 으름장을
놓았다.
<무지방 우유만을 넣었다는 "맥심 화이트 골드">
남양유업측에 따르면 "맥심 화이트 골드"는 카제인을 뺀 것이 아니라
"맥심 모카 골드" 보다 "카제인 함유량만 줄였다"고 한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동서식품의 '식품 품목제조 보고서'를 입수해
카제인 함유 비율을 공개했다.
일단 동서식품에서는 "무지방 우유를 넣었다"
"맛 배합에 필요한 천연 카제인을 넣었다고
문제 삼는것은 납득할 수 없다"고 밝혔다.
맥심 화이트 골드에 카제인이 함유 되어있음을
인정한 것이다.
그렇다면 카제인이 뭐길래 이렇게 난리일까?
카제인이란?
우유에는 수분 외 전체 고형분의 30%가 단백질인데,
카제인은 우유 또는 탈지유의 주요 단백질 성분이다.
카제인 만드는 방법?
우유를 가열하여 pH를 낮춘다. 이때 생성된 응고물을 세정하고 탈수하는
산첨가법과정을 통해서 생카제인을 얻는다. 이 생카제인을 통풍과 건조를 시켜
분쇄하면 분말형태의 카제인이 된다.
카제인나트륨이란?
카제인나트륨은 카제인을 나트륨염형태로 만든것으로,
생카제인이나 분말형태의 카제인에 수산화나트륨 같은
염을 첨가하여 가열하고 분모 건조나 드럼건조하여 얻는다.
카제인나트륨은 염을 첨가한 것이기 때문에 화학적 합성품으로 분류된다.
카제인나트륨을 사용하는 이유는?
원료의 품질이 일정하고 가공하기 쉽기 때문에 혼합물인 천연 카제인보다
정제된 카제인나트륨을 쓰게 된 것이다.
천연 카제인은 불용성이기 때문에 자유롭게 식품에 첨가하기 어렵지만,
카제인나트륨은 수용성 물질이기 때문에 자유롭게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그렇다면 어떤 커피믹스를 마셔야 하나?
마시지 마라!!!
천연 카제인이든 화학적 합성품인 카제인나트륨이던 간에
천연 성분을 가공해 만들어진 2차 부산물이다.
이런 성분이 몸에 좋을리 만무하다.
커피믹스 대신에 가정에서는 신선한 원두를 조금씩 구입해서
커피를 내려 마시고, 필요하면 우유를 타서 마시면 된다.
직장에서는 가까운 로스터리하우스에서 원두를 신선하게 볶아서
만든 커피를 즐기면 된다.
소비자의 주권은 무시하고 자신들의 잇속만 챙기려는 기업들의
농간에 놀아나지 않으려면 현명한 소비를 하면된다. 그렇게 하면
기업들도 자연스럽게 천연원료를 사용을 늘리고 좋은 제품을
생산하게 된다.
커피는 믹스가 아니라 신선한 원두가 최고의 커피임을 명심하자!!!
만든 커피를 즐기면 된다.
소비자의 주권은 무시하고 자신들의 잇속만 챙기려는 기업들의
농간에 놀아나지 않으려면 현명한 소비를 하면된다. 그렇게 하면
기업들도 자연스럽게 천연원료를 사용을 늘리고 좋은 제품을
생산하게 된다.
커피는 믹스가 아니라 신선한 원두가 최고의 커피임을 명심하자!!!
제공.
끝.
728x90
반응형
'커피배우기 > 커피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떤 커피를 마실 것인가? (0) | 2012.03.23 |
---|---|
공정한 무역과 현명한 소비가 필요한 이유 (0) | 2012.03.20 |
더커피하우스에 온 케냐 부인 (0) | 2012.03.13 |
행운의 상징 (0) | 2012.02.24 |
커핑을 배우자 (0) | 2012.02.23 |